반응형 투자482 (미국 주식) 나이키도 러시아에서 완전 철수한다고 합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침공한 이후에 러시아와 또는 러시아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비난이 심해지면서 기업들이 하나둘씩 러시아에서 철수를 하고 있는 와중에 나이키도 철수를 발표했습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철수했는데 대표적으로 맥도날드와 스타벅스가 러시아에서 완전히 철수한 상태이고, 금광회사인 Kincross Gold는 러시아에서 채굴하던 광산을 매각했습니다. 기업들로서는 손해를 보는 것일 수있으나, 기업 이미지 상 어쩔 수 없는 조치들로 보입니다. 더구나 러시아가 그런 글로벌 대기업 입장에서 보면 수익이 많이 나는 국가가 아니다보니, 해당 기업 입장에서는 철수 결정이 그렇게 어려웠던 건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맥도날드가 폐장될 즈음에서 맥도날드 앞에 늘어선 수많은 사람들을 보면.. 2022. 6. 24. 코인 폭락 속에서 큰손들이 매수한다는 뉴스를 보고 ... (ft. 머스크, 도지코인, 비트코인) 최근 코인의 하락세가 폭락세라 불릴 만큼 큰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이 고점대비 70% 정도 하락했고, 알트코인의 대표격인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머지 코인들은 소위 "먼지"가 되어가는 수준이라고 혹평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대폭락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닷컴 버블 수준의 폭락이라는 말과 함께 "코인발 리먼 사태"가 올거라는 말도 요즘 흔히 보는 Narrative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 코인을 줍줍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있다고도 합니다. 개인들 중에 꿈과 희망 안고 사는 사람들도 있지만, 소위 고래라고 불리는 큰손들도 있습니다. 테슬라 CEO인 머스크가 대표적인데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도지코인을 계속 사모으고 있다고 합니다. 그가 이렇게 도지코인을 사모으는 것이 최근에 자신이 도.. 2022. 6. 23. 연준위원들이 "경기침체"를 거론하기 시작했습니다. FOMC회의가 지나고, 연준위원들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FED위원들이 자유롭게 언론과 인터뷰를 하곤 하는데요. 실제 FED가 어떤 액션을 취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말로 시장을 움직이기도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FED는 급격한 금리인상 기조로 바꾸면서도 지금까지는 "연착륙이 가능하다." 거나 "경기침체는 오지 않을 것이다."라는 등의 말을 하면서 시장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켜 왔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파월 의장이 미국 의회 청문회 자리에서 "경기침체"를 거론했고, 다른 지역 연준위원들도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경기침체"를 본격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파월은 일각에서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수요 파괴로 일부러 "경기침체.. 2022. 6. 23.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원.달러 환율이 결국 1,300원대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1월 8일에 기록했던 최저점인 1,080.40원에 비하면 20% 이상 오른 (원화 약세) 셈입니다. 파월 의장의 경기 침체 가능성 언급이 안전 자산 선호를 불러일으켜서 그랬다고는 하지만, 그건 오늘 있었던 이벤트를 환율 움직임에 연결 시키려는 해석 같고, 전반적으로 최근에 신흥국 시장의 환율이 좋지 않은 상황으로 보입니다. 오늘 발표된 5월 CPI 지수를 보면 영국 9.1%, 캐나다 7.7%로 모두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중앙은행에서 자이언트 스텝으로 0.75% 이상의 금리 인상을 할거라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라는데 주목해야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캐나다 달러와의 환율로 거의 10.. 2022. 6. 23. 금투자, 은투자에 관심있는 투자자가 볼만한 유투브 채널 소개 (ft. 투스텝) 최근 금투자와 은투자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유투브 채널 중에 볼만한 채널이 있어서 소개해봅니다. "투스텝"이라는 채널이고, 진행을 하는 사람은 "양베리"라는 사람입니다. 대표 링크입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WC1PnYqVP5DBhGEhsP_GrQ/featured 투스텝 - 투자의 첫걸음 투자에 대해 막막하신 모든 분들을 위하여 기초적인 부분과 핵심적인 부분을 쉽고 재밌게 설명드리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제휴 및 출연 문의 : twostepstock@naver.com www.youtube.com 다른 금은 투자 관련 채널에 비해서, 처음에 볼 때는 양베리가 장난끼 섞인 말투나 모습 때문에 가볍게 보기 시작했는데, 갈수록 그만의 내공을 느낄 수 있게 되.. 2022. 6. 21. 현재의 시장 하락을 음모론 시각으로 본다면 ... 작년 11월 이후부터 시장이 하락세로 들어가더니, 최근 FED의 금리 인상과 QT로 급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통스러울 것입니다. 크고 작은 하락장은 아무리 겪어봐도 고통스럽습니다. 아무리 나름대로 가치주를 싸게 사놨다고 해도 괴롭습니다. 아무리 우량주를 사서 반등할 거라는 믿음이 있어도 당장 눈앞에 하락하는 것을 보면 괴롭습니다. 주가 폭락은 절친이 죽은 것 만큼의 스트레스를 느끼게 한다고 합니다. 이미 시장은 많이 내려왔지만, 이제 FED는 금리 인상 시작이라고 하고, 경기 침체는 아직 오지도 않았는데 역대 최악이라고 합니다. 잠시 시장의 흐름에서 눈을 떠서 흘러온 것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코비드가 오기 전에 사실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2019년 여름에 .. 2022. 6. 21. 비트코인이 $20,000 대가 붕괴되었습니다. 가상화폐가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이 심리적인 지지선이자 일부 큰손들의 마진콜을 부를 수 있다는 선으로 여겨졌던 $20,000를 깨고 내려왔습니다. 미국 동부 시간 6월 19일 0시 30분 경에 $18,463 정도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일보다 약10%나 하락한 상태입니다. 사실 $20,000대를 깨기 전에 전고점을 돌파해서 기록했던 $23,600을 단번에 깨고 내려오는 모양새를 보여 주기도 했었는데요. 가술적으로는 상당히 나쁜 신호 중의 하나입니다. 재밌는 점은 지금 위치가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에 6배가 급등해서 형성했던 가격대라는 점입니다. 당시 누군가는 많이 먹고 털고 나간 자리라는 것이지요. 그 당시의 광기로 따라 들어가서 샀던 사람들은 3년의.. 2022. 6. 19. FED의 금리 인상에 관심이 쏠리는 날입니다. 오늘 FED가 금리인상을 발표합니다. 지난 FOMC 회의 뒤 회견에서 파월의장이 0.75% 인상은 생각하지 않는다는 뉴앙스를 남겨서, 시장은 0.5%를 기대하고 있었지만, 5월 CPI가 8.6%로 나오면서 상황이 급변하는 느낌입니다. 0.75% 인상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Bill Ackman은 1%를 올려야 FED가 다시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하고 있고, 채권왕 Jeffrey Gundlach는 당장 3% 수준으로 끌어올려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한 상황입니다. 인플레이션 문제를 그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 미국 인플레이션은 다분히 FED와 미국 정부의 정책 실패에 기인하는 부분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들도 사정은 비슷비슷합니다. 코로나로 인한 지원금이라고 하면서 지나치게.. 2022. 6. 1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