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482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50bp(0.5%) 올렸습니다.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으로 몸살을 앓고 있고, 유로존도 마찬가지 상황이다보니, 결국 ECB도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문제는 지금까지 0.25% 인상을 이야기했었지만, 그 두배인 0.5%를 인상했다는 점인데요. 그만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이지만, 시장에 주는 충격은 상당히 클 것 같습니다. 유로존의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이 심한 동시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의 우려가 깊고, 인플레이션의 주범인 에너지 가격이 금리나 수요 보다는 푸틴한테 달렸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에 대해 쉽게 수긍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어 보입니다. 거기에 유로존이 단일 국가가 아니라 수많은 국가들의 경제 연합체인데, 각국의 사정이 워낙 달라서 현재 재정 상황이 취약한 이탈리아를 비롯한 국가들에게는 금리 인상 특히 .. 2022. 7. 22.
(미국 주식) 스타벅스 (Starbucks: SBUX) 매장 폐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에서 7월 말까지 Los Angeles, Seattle, and Portland, Oregon 등을 비롯한 도시들에서 16개의 매장을 폐쇄한다고 이미 발표했었는데요. 스타벅스 CEO인 Howard Schultz가 추가로 더 많은 매장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실 팬데믹을 거치면서 캐나다 대부분의 매장을 Drive-through로 바꾸겠다고 발표한 적도 있고 해서, 스타벅스의 매장 축소나 폐쇄는 새로운 뉴스는 아닌 것 같긴 합니다만, 회사에서 밝힌 이유와 다르게 해석되는 부분이 있어서 논란이 되는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는 매장 폐쇄 이유를 "안전"상의 이유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실제 Homeless, Drug 등의 문제가 발생을 했고, 매장의 화장실이 공중 화장실처럼 이용되는 것에 대한 우.. 2022. 7. 20.
(미국 주식) 넷플릭스(Netflix: NFLX)의 광고 서비스에 광고주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FAANG 주로 분류되면서 성장하다가, 팬데믹 시절의 가장 큰 수혜주로 뜨면서 급성장했던 넷플릭스가 주가 폭락으로 힘들게 된 지가 꽤 된 것 같습니다. 지난 11월 미국 시장 하락의 신호탄을 쐈던 주식 중의 하나인 것 같아서 주주는 아니지만, 맘이 좀 짠한 회사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넷플릭스는 미국 동부 시간 기준 7월 19일 12시 26분에 주당 $197.99로 거래되고 있는데요. 아주 주봉 차트에서 보듯이 지난 11월 중순에 주당 $700.99로 최고가를 기록한 뒤로 폭락과 급락을 거듭하면서, 71.8%나 하락한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넷플릭스에서 이익 개선 방안의 하나로 광고를 프로그램에 삽입하고, 광고와 함께 넷플릭스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고객 서비스를 만들어서, 회비를 낮추고, 광고비 수.. 2022. 7. 20.
금투자를 위해 볼만한 사이트와 보고서 추천 (ft. In Gold We Trust ) 최근 금투자에 관심이 증가하는 것 같은데요. 본격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어서 참고가 될 만한 사이트나 보고서들을 찾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몇년 전부터 봐오고 있는 사이트에 몇달 전에 2022년 report도 올라오고 해서 생각난 김에 추천해봅니다. 보고서명이나 사이트명이나 "In Gold We Trust report"로 통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에 보고서 Compact verion과 Full version을 모두 첨부하니, 관심있으신 분은 Full version이 400page가까이 되기 때문에 아래 보고서 중에 Compact version 부터 한번 보시고 Full version을 볼 지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료는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In Gold .. 2022. 7. 18.
캐나다 중앙은행이 전격적으로 기준 금리를 1% 인상했습니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이은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이 잇따르는 가운데, 캐나다 중앙은행이 0.75%를 올릴 거라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전격적으로 1%를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상당히 충격적인 인상폭인데요. 1998년 이후 처음이라고 하니 약 25년만의 최대폭의 금리 인상인 셈입니다. 지난 번에 2번 연속으로 0.5%를 인상해서 1.5%까지 만들어졌었는데요, 이번 1% 인상으로 이전 같으면 중립 금리라고 부르는 수준까지 금리를 올린 것입니다. 사실 미국이 지난 6월에 0.75%를 인상하면서, 캐나다도 0.5%가 아니라 0.75%로 올릴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평가가 많았었지만, 1%까지 올릴 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었네요. 미국의 기준 금리가 1.5%-1.75% 상황이고, 이번 달도 0.75% 인상이.. 2022. 7. 14.
(미국주식) 델타 항공 (Delta Air Lines: DAL)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팬데믹 발생 이후 항공업계의 고군분투가 이어지는 가운데, Re-opening이 본격화되면서 실적 개선이 기대되었던 델타 항공이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실적 내용 자체도 자체지만, 항공업계 전반적인 실적 추이와 사업 운영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시사점을 주는 실적 발표였던 것 같아서 글로 남겨봅니다. 최근에 세계 곳곳의 공항에서 벌어지는 광경과 항공사들의 연이은 운항편 취소를 보면서 많은 걱정들을 한 것에 비하면, 델터항공은 2분기에 $735 million라는 수익을 냈다고 발표했습니다. Operation revenue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2분기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합니다. 참고로 항공편은 2019년 2분기에 비해 82% 정도만 운항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개선된 실적은 2분기에 워낙 항공 수요가.. 2022. 7. 14.
지난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9.1% 오른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다렸던 미국의 6월 소비자 물가 지수 (CPI)가 오늘 아침 미국 동부 시간 기준으로 8시 30분에 드디어 발표되었습니다. 시장 예상치 8.8%를 0.3%나 뛰어넘는 9.1%로 발표되었는데요. 앞자리가 바뀌어서 그런지 발표 직후에 심리적으로 주는 충격이 상당했던 것 같습니다. 돌아보면 지난 5월 CPI 발표도 충격적이긴 했었지요. 2022.06.10 - [투자/시황] - 지난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6% 오른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발표된 6월 CPI가 충격적인 숫자와는 달리 내용과 전망 등은 사실 대부분이 예상되었던 것 입니다. CPI의 급등을 이끈 요인이 유가, 식료품, 임대료라는 것도 대부분이 알고 있었던 것이고, 이번에 나온 수치가 정점이거나 적어도 정.. 2022. 7. 13.
(캐나다 주식)에어캐나다 (Air Canada: AC)에서 에미레이트 항공과 전략적 파트너쉽을 체결했습니다. 악재만 연속이던 에어캐나다에 오랫만에 좋은 소식이 하나 나왔습니다. UAE의 에미레이트 (Emirates) 항공과 전략적 파트너쉽에 사인했다는 소식인데요.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쉽을 통해 Code-sharing를 하고, 양사 소속 항공기로 연결편 예약을 single ticket으로 하고, 화물 연계 수송 등을 한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도 내용이지만, 팬데믹 이전 기준으로 국제 여행객이 가장 많이 찾는 두바이 공항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에어 캐나다로서는 상당히 좋은 제휴인 것 같습니다. 캐나다 자체의 국민들 중에 워낙 다양한 인종이 이민, 또는 난민 자격으로 와서 살고 있고, 최근 몇년 동안 시리나 내전으로 수십만명이 넘는 중동 사람들이 왔기 때문에 더더욱 의미가 크겠습니다. 역으로 소득 .. 2022.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