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캐나다 달러11 미국 달러 인덱스가 96에서 공방 중입니다. (ft. 캐나다 달러) 어제 달러 인덱스가 97 밑으로 내려왔다는 글을 올렸었는데요. 그 하락세가 지속되다가 반등하면서 96 근방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뉴스상으로 영향을 미쳤을 만한 것은 민간 부문 고용 지표인 ADP Payroll data가 부진하게 나온 것이었습니다만, 뉴스 이전에도 어제의 하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하지만, 북미 시장 개장을 앞둔 아침부터 반등으로 돌아서서 지금은 96 근방을 기록하고 있어서, 오늘 하루 96을 깨고 위로 향할 지 관심거리일 듯 합니다. 각종 보조지표로 보나, 인덱스의 추세를 아직은 상승 추세가 무너졌다거나 하는 흐름은 아니기 때문에 잠시 쉬어가는 것인 지, 추세 전환하는 지 봐야한다고 말할 수도 있는 자리에 있는 것 겉습니다. 참고로 캐나다 달러 움직임 한번 보았습니다. 이런 달러 인덱스.. 2022. 2. 2. 미 달러 인덱스가 97을 넘기고, 캐나다 달러가 약세로 돌아섰습니다. FED 발표 이후에 달러 인덱스가 급등하면서 97을 넘겼고, 미 달러 강세 폭이 워낙 크다보니 유가 강세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달러는 약세 전환했습니다. 이전 글들에서 달러 인덱스를 모니터링할 때 위쪽으로는 97을 의미있는 기준점으로 삼아보자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이는 작년 2021년 11월 24일에 형성했던 고점인 96.94를 넘기는 수준이고, 재작년 2020년 6월말/7월초에 하락 추세를 시작했던 수준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달러인덱스 주봉 차트입니다. 몇가지 보조 지표상으로는 이제 과매수, 상승 추세 진입 구간으로 들어가는 시점으로 보여서, 당분간은 미 달러 강세 국면이 전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나다 달러는 WTI가 $88을 육박하는 등의 호재가 있었지만, 워낙 미국 달러 강세.. 2022. 1. 28. (환율) 캐나다 달러 약세가 외환 전문가를 당황스럽게 하고 있다고 합니다. 캐나다 달러는 호주 달러와 함께 전통적으로 Commodity 가격과 연관성이 높은 화폐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캐나다 달러인 루니는 Oil 가격과의 연관성이 매우 높아서 Petrocurrency하고 불렸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물론, 지난번 COVID 사태로 Oil 가격이 폭락하면서 캐나다 달러가 크게 하락하긴 했지만, 그 연관성이 많이 떨어졌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었지요. 아니면 하락 방향으로만 coupling하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하지만, 작년 2021년 초에 보였던 캐나다 달러의 미국달러 대비 환율과 지금 2022년 초에 보여주는 환율이 같거나, 오히려 캐나다 달러(루니)가 다소 약소를 보이는 것에는 베테랑 외환 전문가 조차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라고 하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작년 한해 동.. 2022. 1.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