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오늘 캐나다 중앙은행이 예상을 깨고 기준 금리를 인상했다는 소식이 주요 시장 뉴스로 나왔습니다.
호주가 이미 금리 동결 이후에 다시 인상을 하기 시작한 것과 맞물려서 이번 캐나다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도 6월에 금리를 동결보다는 인상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낳는 듯해보입니다.
뉴스에서는 이번 캐나다 기준 금리인상이 예상외라고 하지만, 사실 오늘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은 며칠 전에 예상외의 물가통계와 노동 시장 통계가 발표되면서 부터 서서히 확률이 높게 전망되어져왔습니다.
Bloomber 서베이에서는 20%정도의 인상 전망이었지만, 시장 전망에서는 50%로 나왔고, 어제 마지막으로 BNN에서 인터뷰하는 사람들도 50:50이라는 말들을 하는 것을 봤습니다.
금리 인상의 이유는 물가가 여전히 높고, 경제가 탄탄하다, 특히, 노동시장과 견고하고, 부동산 시장도 지금까지 높인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금리 인상을 반대했던 사람들의 논리는 경기 선행 지표들이나, 소비 지표들을 보면 경기가 침체로 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돌이켜보면, 캐나다 중앙은행은 이번 전세계적인 금리 인상사이클에서 서방 선진 국가 중에는 선제적이고 유일하게 1%를 한번에 올렸었고, 지난 1월에는 금리를 동결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3월에 미국의 지역은행 사태 등이 터지면서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 동결은 선견지명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 등 나름 호평을 받은 측면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의 재인상 시작 소식도 차후 경제 동향에 따라 평가를 받게 되겠습니다.
한편으로는 지금까지 높여온 금리 즉 오늘 인상분까지 포함해서 4.75%의 기준금리에도 중앙은행의 말처럼 경제가 탄탄하고, 부동산도 영향을 거의 안받았다고 하면, 과연 금리 인상이 경기 완화를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고, 동시에 지금 보다 훨씬 더 높은 금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올 수도 있을 상황으로 보입니다.
캐나다는 COVID 이후에 다시 이민을 대폭 확대해서 받고 있고, 이들이 부동산 시장에 여전한 수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며칠 전 CBC 방송에 나온 토론에서 보듯이 기존 월세 물량 중에어비앤비로 전환되는 속도가 신규로 들어오는 월세 물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상황에서 Rent비는 계속 치솟고 있기 때문에 이게 과연 금리로 해결할 수 있을 지는 중앙은행과 정부가 함께 분석하고 고민해야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어느 한 부분에서 크게 터지면 중앙은행의 입장이 급변할 수도 있을텐데요.
사실 캐나다의 은행이나 보험사들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지 않더라도 굉장히 건실하게 운영되고 있어서 이쪽에서 문제가 생길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저금리 시대에 공격적으로 미국의 투자사들을 인수하면서 과도한 부채를 지고 있는 일부 투자사들을 제외하면 그런 것 같습니다.
부동산도 끊임 없는 수요와 공급부족으로 가격면에서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어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폭락의 위험은 그리 커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렌트비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결국 2008년 경제 위기 이후에도 미국과 달리 한번도 조정하지 않았던 개인부채 쪽에서의 문제와 기업부채로 인한 문제는 생각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특히, 미국 회사들이 많이 진출해있고, 미국과 긴밀하게 엮여져 있는데, 미국 쪽의 침체가 생긴다거나해서 캐나다의 노동 시장에 문제가 생긴다면 개인 부채 문제의 악화가 가속화 될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이런 일들은 터지기 전까지는 알기 힘듭니다. 캐나다 처럼 언론이 조용한 나라에서는 더 그렇지요.
여하튼 이런 경제 논리나 논쟁을 떠나 계속된 금리 인상으로 개인들의 금리 부담이 끝없이 높아져가는데요. 부디 모두들 잘 버텨나갈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참고한 BNN 뉴스입니다.
Bank of Canada hikes key interest rate to 4.75%
https://www.bnnbloomberg.ca/bank-of-canada-hikes-key-interest-rate-to-4-75-1.1929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