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량 해고들은 코로나 때와는 조금 다르게 느껴집니다.
코로나 당시에 많은 혜택을 입었던 미국 빅테크를 중심으로 신규 채용 동결 또는 대규모 해고 소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메타(구 페이스북)에서 직원 약 87,000명 가운데 수천명을 해고할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인수한 트위터는 인수 직후에 직원의 절반인 3,700명을 해고했다고 합니다. 물론, 회사 인수에 따른 자구책의 일환이겠지만, SNS 업계의 분위기를 보면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가 없었어도 상당한 수가 해고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해고들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가운데 나오고 있는 해고이고, 사람들 머리 속에 우량 회사로 간주되는 회사들의 해고이기 때문에 관심이 안갈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런 큰 회사들의 직원 해고 등의 움직임은 그 회사들과 연관된 회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인데, 언론에서 그 이하의 수많은 회사들의 해고 소식은 통계에 잡히는 숫자로 말을 할 뿐 구체적인 뉴스로 접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우려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약 10년 전 정도인 2013년을 전후로 IT 업계 등에서 직원해고나 채용동결 등이 많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때도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는 시점이었고, 유가가 고점을 찍었던 시기였었지요.
코로나 발생 초기에 엄청난 해고 사태가 있었습니다.
사실 코로나 초기에 있었던 해고는 엄격히 말하면, 비지니스들이 All-stop되는 과정에서 나왔기 때문에 다른 의미가 있긴 합니다. 해고 자체도 주로 식당, 건설 현장 등의 저임금, 파트타임 근로자들에게 집중되었습니다. 사무실에서 일하는 고소득자들의 해고는 그리 많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물론, 항공업계, 여행업계, 정유업계처럼 코로나에 직격탄을 맞은 곳은 소득수준이나, 정규직 여부와 무관하게 일시에 대량 해고가 되었었지요.
코로나 당시의 해고가 주로 저소득 일자리에서 많이 발생하고, 연이어 금리 인하 등의 조치가 일어나면서, 자산 가격들에는 영향이 크게 없었습니다. 사실 이어진 유동성의 확대는 오히려 자산 가격을 더 부추겨서 가격들을 폭발시켰습니다. 그러다 보니, 빈부의 격차는 더 커진 것이지요.
거기다 코로나 당시에는 정부에서 해도된 사람들을 위해 "끝까지 무제한적인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었지만, 지금은 그런 재정적인 여력은 어느 나라도 없어보이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런 현금성 지원이 결국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가지고 온다는 교훈을 얻었고, 아직도 높은 인플레이션이 유지되는 상황이어서 또 다시 충분한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여하튼 지금 진행되는 해고가 코로나 당시의 해고와는 좀 다른 형태로 진행되지 않을까 싶은 것이 지난 주 발표된 고용 현황 통계도 그렇고 주로 풀타임 일자리에서 해고가 많이 나오고 있고, 최근 발표되는 대규모 해고들이 고소득 업종으로 각광받는 IT 업계 인력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입니다.
마치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 고소득 금융 업종에서 실업자가 많이 나온 것과 유사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고 빈부의 격차가 더 줄어들 것 같지는 않지만, 코로나 당시와는 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섣불리 예측하지는 않는 것이 좋겠다는 의미입니다.
아울러 너무 많은 변수가 몰려 있어서 어떻게 전개될 지는 시간이 지나봐야알겠지만, 분명해 보이는 것은 고소득자들의 해고가 크면 자산 가격의 반등은 더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고통의 시간이 더 오래갈 수 있겠습니다. 마음을 단.디. 잡아야하겠습니다...
* 관련 이전 글들입니다.
미국 국채 10년물과 3개월물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yield curve inversion) 되었습니다.
(미국 주식) 오늘은 모든 관심이 메타 주가에 쏠리는 듯 합니다.
(미국 주식 이야기) Facebook에 팬데믹 이후에도 직원들의 재택 근무를 허용할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