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482 (환율) 원화환율이 이전 고점에 다시 다가왔습니다. 어제 한국 원화는 0.49%나 오른 달러당 1,436원을 기록했습니다. 실제 미국 달러 인덱스 대비해서 얼마나 올랐는지 한번 봤습니다. 미국 달러당 원화환율 1년치 그래프입니다. 작년 10월 26일에 기록했던 최저점 달러당 1,167원 보다 23%나 오른 것이고, 이전 고점인 달러당 1,440원에는 불과 0.3%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입니다. 비교를 위해 같은 기간에 달러인덱스를 한번 봤습니다. 미국 달러 인덱스 1년치 그래프입니다. 달러인덱스는 작년 10월 28일에 기록했던 93.32에 비해서 약 21% 조금 넘게 올랐고, 최근 고점인 114.14에 0.85% 정도 차이가 난 상태입니다. 년간으로 보면 원화약세가 저점대비 약 23%이고, 달러 인덱스의 상승분이 저점대비 약21%이니, 차이가 크게 나지 .. 2022. 10. 11. (한국주식) 네이버와 카카오가 폭락한 것을 보고 ... 팬데믹 기간 중에 국민주로 떠올랐던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금은 투자자들을 엄청 괴롭히고 있다고 해서 한번 봤습니다. 한국장은 관심이 사실 크게 없던 터라 몇년 동안 본적이 없어서 개략적으로만 봤습니다. 우선, 카카오 주간단위 차트입니다. 파란색 수평선이 2020년 5월에 전고점을 뚫고 본격적으로 상승을 시작했던 지점입니다. 가격은 약45,000원 정도였던 걸로 보입니다. 그 뒤로 카카오는 173,000원까지 올라갔고, 어제 50,100으로 종가를 기록했습니다. 고점대비 71% 정도 하락한 셈입니다. 하지만, 45,000원까지 아직도 10% 정도는 더 남아있는 셈입니다. 다른 보조지표로 봐도 아직은 더 빠질 수 있는 자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래 네이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45,000원대까지 간다.. 2022. 10. 11. 나스닥이 2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기어이 나스닥이 지난 저점을 깨고, 결국 2년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장을 마감했습니다. 2년이라는 기간이 의미가 있는 것이 약 2년 전에 Nasdaq가 코비드에 따른 급격한 하락을 딛고 이전 고점을 뚫었던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즉, 오늘 2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것은 코비도로 인해 풀린 유동성에 의한 상승분은 대부분 반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개별 종목에 비해 지수가 떨어지는 정도는 덜했었는데요. 그것은 애플과 테슬라를 비롯한 몇몇 대형 기술주들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다우존스의 경우에는 3주 전 즈음에 이미 그런 위치로 내려왔습니다. 월가에 영향력이 크다는 JP Morgan CEO가 지금보다 주가가 20%는 "쉽게" 빠질 거라고 말했는데요. 사실 인터뷰 중에 말하는 톤.. 2022. 10. 11. 미국의 고용 지표가 정말 잘나온 것일까요? 지난 금요일에 발표된 9월 미국 고용 지표 때문에 시장이 폭락했습니다. 지표가 잘 나와서 연준이 긴축을 계속할 거라는 우려때문이라는데요. 과연 어제 발표된 미국의 9월 고용지표는 잘 나온 것일까요? Investing.com에 나와있는 월별로 발표되었던 미국의 Nonfarm Payrolls Data를 한번 봤습니다. 제일 상단에 있는 것이 어제 발표된 9월 비제조업 부문 고용 실적입니다. 예상치가 250,000건인데, 실제 263,000건으로 나왔으니, 예상보다는 잘 나온 것은 맞습니다. 그 전달도 예상 300,000건에 실제 315,000건, 그 이전 달들도 대부분 예상치보다 실제 고용 실적이 좋은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주의해서 볼 것은 예상치들의 추세입니다. 대략적으로 봐도 2021년에 550,0.. 2022. 10. 9. (금투자.은투자) 금가격과 은가격이 주간 단위로 상승했습니다. 어제 금요일에 미국 9월 고용지표가 발표된 직후에 금가격과 은가격의 하락폭이 커서 주간 단위로는 어떠했는지 한번 봤습니다. 우선 금가격 주간단위 차트입니다. 지난 금요일 하락을 반영해서 윗꼬리를 달고 끝났지만, 한주간에는 온당 $1,671.45에서 시작해서 상승마감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지지난 주에 $1,618.00이에서 저점을 찍었던 것을 감안하면 2주간 상승폭이 상당히 큰 셈입니다. 차주에 CPI 발표 등의 변수가 있고, 11월 초에 예정된 미국의 금리 인상이 남아있어서 불확실성이 있지만, Lassonde의 말처럼 금가격이 새로운 가격으로 바닥을 형성했는지 주목할 만한 지점에 온 것 같습니다 월단위로 보면,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하락세를 기록하고 지난날 하락폭만큼을 만회한 상태여서 과.. 2022. 10. 8. 11월에 FED가 기준금리를 0.75% 올리면 어떻게 될까요? 평소에도 관심이 많긴 했지만 올해만큼 매크로에 관심을 많이 가진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매크로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이유는 이전과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이전에는 주로 투자에 참고를 위해 관심을 가졌다면, 최근 매크로에 대한 관심이 다른 이유는 그 촛점이 실물경제와 금융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보기 때문입니다. 아래 미국 국채 금리 Table은 미국 동부시각 기준 정오를 조금 넘긴 시점의 화면을 investing.com에서 캡쳐한 것입니다. 우선 참고로 며칠 전에 10년물과 30년물 금리가 재역전되었다는 글을 올렸었는데요. 오늘 다시 재재역전되었습니다. 2022.10.03 - [투자/시황] - 미국채 10년물과 30년물 금리가 재역전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많.. 2022. 10. 7. (캐나다 주식) 캐나다 배당주 리스트 분석_Sep 2022 장이 안좋다보니 배당주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듯 해서, 오랫만에 캐나다 배당주 관련 글 올립니다. 년초에 올렸던 캐나다 배당주 리스트 분석을 2022년 9월말 기준으로 update해서 올립니다. 년초에 올렸던 것과 비교하시면서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2.01.03 - [투자/기업 이야기] - (캐나다 주식) 캐나다 배당주 리스트 분석 올리는 글의 기준은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The Globe and Mail에 올라온 캐나다 배당주 리스트입니다. 배당주들을 배당율, Credit Rating, Payout ratio 등을 기준으로 선정한 리스트이니 관심을 가져볼 만한 것 같고 캐나다 주식 시장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익히 많이 들어본 회사들이 주로 들어있습니다. 아래 기사는 2022년 9월 .. 2022. 10. 4. 테슬라 (Tesla: TSLA) 폭락을 보면서 든 생각 오늘 테슬라가 8.61%라는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나스닥이 무려 2.27%나 오르고, 대부분의 대표 기술주들이 대폭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폭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 싶습니다. 이런 날은 테슬라 주주들에게는 정말 속상하는 날이겠지요. 폭락의 원인으로 3Q 인도량 부진이라는 실적 부진과 트위터에서 Elon Musk가 실시한 친러시아 뉴앙스가 풍기는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설문조사로 인한 CEO risk 부각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인도량 부진이라는 것도 물류 문제에 따른 것이고 다른 자동차 회사에 비하면 별로 큰 문제는 아닌 것 같고, 트위터 문제도 Elon Musk가 늘상 하는 행동 중의 하나에 불과해서 그것들이 폭락의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유동성으로 인해.. 2022. 10. 4. 이전 1 ··· 4 5 6 7 8 9 10 ··· 61 다음 반응형